🤓 Health care Study/- Study with me

[기본간호학] Vital Sign(활력징후) 영향 요인 표 정리 (BP/HR/RR/BT/SpO2)

또방91 2022. 7. 5. 14:00
728x90

 

 

 

Vital Sign(활력징후) 정의 및 영향요인

- 센서데이터 전처리를 위한 준비 -

 

 

 

 

 

IoT  센서기계를 통해 수집한 Vital Sign 데이터를 보고

결측 값(missing value), 이상 값(outliers), 잡음 값(noise) 등을 확인하고 

데이터 전처리를 해줘야한다.

 

이 값들이 정말 오류로 인해 발생한건지 유의미한 값인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데이터에 대한 domain이 필요로 하기에

오랜만에 기본 간호학을 펼쳐보았다.

 

 

옆에 둥둥 떠다니는 메뉴바에서 원하는 

 

 

 

여기서 잠깐 !!

데이터 관점에서 살펴보기 때문에,
측정값, 영향요인 등에 대한 이론적인 내용이 대부분이다!

혹시나 실무적인 내용이 필요하신 분은 
* https://m.blog.naver.com/lhc930102/221149882194 여기 포스팅을 참고하거나
* 프셉마음 신규 간호사를 위한 진짜 실무 팁 (기초편) -드림널스 책을 추천한다.

 

이건 알고 있겠지 ??

환자에게 호흡측정 한다고 알리면 의식적인 호흡을 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활력징후를 측정한다고 안내 후 측정해야 함
혈압커프의 압력으로 인해 통증이 발생한다면 RR과 HR에 영향을 주기도 함
* tip 따라서,  V/S을 측정할 때는 체온-맥박-호흡-혈압 or 혈압-맥박-호흡-체온 순으로 측정함

 

 

 

 

 

  BP(Blood Pressure 혈압)  

👓 정의

: 심장에서 혈관벽을 향하여 혈액이 흐르는 힘
- SBP(Systolic Blood Pressure 수축기압): 좌심실이 대동맥으로 혈액을 보내는 수축기 최고혈압
- DBP(Diastolic Blood Pressure 이완기압): 심실이 이완되는 최저혈압

* 혈압 정상범위 (성인) & 각 나이에 따른 혈압 정상범위

 

 

👓 혈압 데이터 영향요인 

 

 

 

  HR (Heart Rate 심박동수)  

 P (Pulse 맥박) 

👓 정의

매 회 심장의 좌심실의 수축에 의해서 말초동맥에서 촉진되는 박동
보통 요골맥박에서 측정 > 이상 있을 시 심첨맥박 측정함

* 나이에 따른 맥박 정상범위

 

👓 맥박 데이터 영향요인 

 

 

  RR (Respiratory Rate 호흡 수)  

👓 정의

1분 동안 얼마나 호흡하였는 지의 횟수
뇌의 연수에 있는 호흡중추와 폐의 정상적 기능에 의해 조절됨
- 외호흡: 폐와 환경 사이의 이동
- 내호흡 : 헤모글로빈과 단세포 사이의 세포수준에서의 산소이동

* 호흡 정상범위

 

👓 호흡 데이터 영향요인 

 

  BT (Body Temperature 체온)  

👓 정의

 

👓 체온 데이터 영향요인 

 

 

 

 

  SpO2 ( Saturation of Percutaneous Oxygen 산소포화도)  

👓 정의

적외선이 손가락을 투과하거나 반사되어 센서에 도달하는 양을 측정하여 혈액의 산소포화도를 산출함
헤모글로빈과 산소의 결합 비율 즉, 혈액 안의 산소 농도를 나타냄

* 산소포화도 정상범위

 

👓 산소포화도 데이터 영향요인 

 

 

 

 

 

 

 

 

* V/S 정상범위 요약 표

 

 

 

 

참고:

프셉마음 신규 간호사를 위한 진짜 실무 팁 (기초편) -드림널스

근거기반 기본간호학(상) - 수문사

https://m.blog.naver.com/lhc930102/221148386100 (활력징후 포스팅)

https://thduddl2486.tistory.com/133 (산소포화도 관련 포스팅)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