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ealth care Study/- 디지털헬스케어

[study] 4차 산업혁명, 의료정보 & 의료용어 표준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또방91 2022. 3. 12. 13:04
728x90

 

 

 

 

 

 

 

4차 산업혁명, 의료정보 & 의료용어 표준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에서 

1 4차 산업혁명 시대, 의료 환경은 어떻게 변할까?
2 앞으로 우리나라 의료정보정책은?
3 의료정보 정책에서 의료정보 표준이 중요한 이유는?
4 의료정보기술의 도입목적과 전략은 무엇일까?
5 의료데이터의 상호운용성과 표준의 관계는?
6 임상 아이디어 기록 용어는 어떻게 변해왔을까?
7 기능별 의료용어의 종류와 역할은 무엇일까?
8 참조용어체계란 무엇일까?
9 영역별 표준의료용어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10 SNOMED CT란 무엇일까?

 

1. 4차 산업혁명 시대, 의료 환경은 어떻게 변할까?

 

1. 최근 보건의료의 문제점

1) 거시적,환경적 문제 : 고령화

2) 거시적, 환경적 문제 : 국민의료비 증가 

 - 만성질환의 비중 증가

3) 보건 의료의 내재적 문제 : 의료전달체계 쏠림 현상, 만성기 일차 의료 관련 의료의 질 미흡, 영리화 논란 등

4) 추구해야할 가치들

 - 지속가능성

 - 질적우수성

 - 접근성

 

2.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의료환경의 변화

1) 기술패러다임의 변화

2) 의료에 영향을 미칠 4차 산업혁명 기술들

* 인공지능AI:

 - 진단보조, CDSS(IBM 왓슨-NLP 처리), Human-error prevention(로봇수술), 수술기능 탑재로봇

* 환자가 직접하는 건강 관리

 - Digital Healthcare/ Therapeutics

 - Continuous Monitoring of Health(다양한 리스크를 측정하고 내원을 권고))

 - 3D 프린팅 (고해상도 의료영상 3D복원)

 - 세포치료제(Cell Therapy), 면역치료제 (Immunotherapy), 유전자치료제 (Gene Therapy)

 - 바이오마커 기반 약제 (Biomarker-based Drugs): 단백질이나 DNA, RNA, 대사물질 등을 이용해 몸 안의 변화를 알아낼 수 있는 지표

 - De novo Drug Design with AI-based protein structure prediction : 단백질 구조 예측기반 인공지능을 통한 신생 약물 디자인

 

** 새로운 기술은 보건 의료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인가? 정책 방햐에 따라 가능할수도, 그렇지 않을 수도 있음

 

3)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해 대두된 새로운 이슈들

*  의료공급자:

 - 많은 사람이 필요한 의료 행위가 로봇 하나만으로도 가능해짐! --> 새로운 시대에 걸맞은 의료공급자 역할을 다시 고민해야 함

* 의료수요자

 - 다양한 의료 정보 속에서 중심을 잡아야 함 /  건강염려증, 의료 과소비를 주의함 / 의료전달체계를 건너뛰지 않도록 함

* 보험자와 규제자

 - 새로운 시대의 의료 행위는 어떻게 규정해야 할까? / 고가의 고효율 치료를 어떻게 해야 할까? / 글로벌 경쟁기술을 어떻게 따라잡을 수 있을까? / 임상시험의 허가나 관리 방안은?

* 정보활용 : 정보주체, 사이버 시큐리티 --->개인 정보 보호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면 좋을지

* 4차 산업혁명과 의료 정보 데이터 

 - 어디까지가 공익성일까? / 공익적 연구의 범위가 근접하게 규정될까? / 공익적인 연구는 끝까지 공익적일까? / 공익적이면서 상업적일 수는 없을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