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ig Data/- etc (OS, Linux)

[환경구축] CentOS7에 Anaconda + jupyter notebook 를 설치 및 설정을 해보자!!

또방91 2021. 12. 24. 16:46
728x90

 

 

 

 

 

 

 

항상 구글 코랩을 애용하며 지내왔는데,

원하는 기능이 부족하여, 주피터노트북을 설치하기로 했다!

 

현재 나의 환경은 VirtualBox에서 CentOS7 이다~ 😊

 

 

 

 

 

 

 

🐍 아나콘다를 깔아보자 

 

🐍1. 아나콘다 홈페이지 접속한다!

 

🐍2. 홈페이지 첫화면에 쭉 내리면 Linux 환경에서 다운할수 있는 링크들이 있는데,

그 중 64-Bit (x86) Installer (581 MB) 위에 커서를 놓고 오른쪽을 클릭해서 링크주소 복사를 해놓는다.

 

🐍3. 터미널 열고, 리눅스 다운로드링크로 설치파일(압축파일)을 다운받는다.

wget https://repo.anaconda.com/archive/Anaconda3-2021.11-Linux-x86_64.sh

아래와 같이 설치 화면이 뜬다. 👇👇👇

🐍4. 설치된 압축 파일을 풀어 실행해야하는데, 나처럼 root가 아니라면 sudo를 작성하고, 압축파일명을 써준다.

sudo bash Anaconda3-2021.11-Linux-x86_64.sh

 

🐍5. 설치계속하기위해선, 이 파일의 라이센스를 봐야한다면서

>>> 커서깜빡깜빡 상태가 될거다. 그럼 ENTER 키를 쳐준다. 

 

🐍6. 아래처럼 라이센스 내용들이 보일텐데 ENTER키를 누르면 아래로 쭉 내려준다.

 

🐍7. 쭉 내리다보면 아래 화면처럼 라이센스 동의 하냐고 물어보면 yes라고 작성해준다.

 

🐍8. 이제 >>>커서 깜빡깜빡거리는데, 아나콘다파일 설치할 곳을 써달라는거다.

 

🐍9. 내 경우는 home/anaconda3라고 설정해줬다.

 

🐍10. 이제 설치가 막 시작이된다... 시간이 조금 걸린다.

 

🐍11. 아나콘다 초기 실행할거냔 말에 이 또한 yes 를 쳐준다

 

🐍12. 이제 Thank you for installing Anaconda3! 라고 하면서 설치는 끝!!이다.

 

🐍13. 아나콘다를 기본환경으로 설정해주기(환경변수 변경)

(그래야 아나콘다에서 제공하는 파이썬 패키지를 다운을 쉽게 할수 있따..!)

sudo vi .bashrc

아래처럼 화면이 뜬다.

 

🐍14. 기본 양식에서 아래 식으로 바꿔써준다.

i 를 눌러 작성모드로 바꿔준후 붙여놔주고, esc 키 -> :wq! 눌러서 저장

__conda_setup="$('/home/anaconda3/bin/conda' 'shell.bash' 'hook' 2> /dev/null)"
if [ $? -eq 0 ]; then
    eval "$__conda_setup"
else
    if [ -f "/home/anaconda3/etc/profile.d/conda.sh" ]; then
        . "/home/anaconda3/etc/profile.d/conda.sh"
    else
        export PATH="/home/anaconda3/bin:$PATH"
    fi
fi

 

🐍15. 아래 코드 식을 작성하면

unset __conda_setup
source .bashrc

🐍16. 환경 변수가 변경된 것을 알 수 있다! 앞에 (base)가 생김

 

 

 

 

💥 주피터를 깔아보자 

 

 

 

💥1. 주피터 확인(버젼)하기 - 아나콘다를 깔면 자동으로 깔린다.

확인해보고 싶으면 설치경로로 설정한 home/anaconda3/bin에 들어가보면 확인할수 있다.

💥2. 주피터가 설치되었긴하지만, 나에게 맞는 설정이 필요하다.

그래서 아래 식을 써서 config 설정파일을 생성하고 원하는대로 수정설정하면 된다.

jupyter notebook --generate-config

 

아래처럼 config 파일이 만들어진 경로가 뜬다.

 

💥3. vim 뒤에 경로를 복사하여 붙여놔준다.

vim /home/sonalim/.jupyter/jupyter_notebook_config.py

 

💥4. config 설정파일 속 내용이 무지막지하게 뜬다.

 

💥5. 내가 설정하고픈 부분은 2가지!

     1) 주피터 노트로 만든 결과물이 저장되는 경로(c.NotebookApp.notebook_dir)

     2) 외부에서 접속하기 위한 설정(c.NotebookApp.ip)

 

 

     💥💥 5-1). 주피터 노트로 만든 결과물이 저장되는 경로(c.NotebookApp.notebook_dir)

내용이 엄청 길기때문에 찾기 리눅스 명령을 이용해준다.

/c.NotebookApp.notebook_dir

위 식을 치면 393번 줄에 하이라이트가 쳐진다.

몇번쨰줄인지는 터미널 맨아랫줄 맨오른쪽에 보면 뜹니다.

i를 눌러 입력모드로 바꾸고

앞에 주석을 지우고 저장하고 싶은 위치를 써줍니다.

(전 미리 jupyter폴더를 만들어놨습니다 ㅇ_< 찡긋!)

 

     💥💥5-2). 외부에서 접속하기 위한 설정(c.NotebookApp.ip)

그리고 esc키를 누른다음 아래식을 써서 찾습니다.

/c.NotebookApp.ip

위 식을 치면 297번째 줄ㅑ에 있는 걸 알 수있습니다.

역시나 마찬가지로 i를 눌러 입력모드로 바꿉니다.

주석을 없애고 외부에서 접속할수있도록 0.0.0.0으로 설정을 해줍니다.

esc키를 누르고 :wq!를 작성하여 저장후끝내기를 합니다.

 

💥6. jupyter notebook이라고 치면 실행이 됩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