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샛길 공부에 이어 기특공부를 시작하였다.
기특하게도 샛길인 아닌 찾아서 한 공부를 뜻하는 '기특공부'
첫 발걸음을 떼본다!
sys.stdin을 공부하면서 standard in이 있으면 out도 있지 않을까? 란 생각에 시작한 이번 공부✏
찾아보니
입력과 관련된 input( )과 sys.stdin.readline( )을 비교한다면
출력과 관련된 print( )와 sys.stdout.write( )을 비교하고 있었다!
뚜둥
요약해보자면
연속 출력 | 메모리와 속도 | |
print( ) | 줄바꿈하여 출력 | 메모리 적음 / 속도 느림 |
sys.stdout.write( ) | 줄바꿈없이 바로이어서 출력 | 메모리 큼 / 속도 빠름 |
❗ 먼저 print( )의 경우
print( a ) print( b ) |
▶▶ 실행 결과 ▶▶ | a b |
❗ 다음 sys.stdout.write( )의 경우
sys.stdout.write( 'a' ) sys.stdout.write( 'b' ) |
▶▶ 실행 결과 ▶▶ | ab |
여기서 주의해야할 점은! ( )안에 문자열이 들어간다는 것!
더 확장해서, 만약에 sys.stdout.write( )를 쓰고 싶은데, 한 줄씩 출력하려면 어떡해야하나??
sys.stdout.write( 'a' + '\n' ) sys.stdout.write( 'a' + '\n' ) |
▶▶ 실행 결과 ▶▶ | a b |
앞으로 잘 사용할까 모르겠지만, 만약 시간초과가 나올경우 바로 사용해봐야지!
기특공부 끝!😎
728x90
'😀 Language >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특공부] 투포인터, 구간합 / python3 (feat. 이코테 유튜브강의) (0) | 2021.11.10 |
---|---|
[샛길공부] 소수판별,에라토스테네스의 체(feat. 이코테 유튜브강의) (0) | 2021.11.10 |
[샛길공부] DFS와 BFS 문제풀기 (feat. 이코테 유튜브강의) (0) | 2021.11.07 |
[샛길공부] DFS와 BFS (feat. 이코테 유튜브강의) (0) | 2021.11.07 |
[샛길공부] sys.stdin 과 sys.stdin.readline( )의 차이 (0) | 2021.11.04 |